본문 바로가기
묵직한 정보

대한민국 뿌리 산업, 도금의 기초에 대해 알아보자

by 헤비급펀치 2023. 10. 21.
반응형
목차

1. 기초 지식


2. 도금의 종류


3. 도금액의 작업조건 및 조성


4. 도금 불량

안녕하세요 이번에 소개드릴 뿌리 산업이란?  표면처리, 용접, 주조, 금형, 소성가공, 열처리 등의 기초적인 제조업을 뿌리산업이라고 합니다. 이 중에서 표면처리기술 중 도금을 쉽게 알려드리기 위해 기초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기초 지식

1. 기초 지식

  • 도금이란? 

쉽게 얘기해서 어떤 물체에 화학적, 전기적인 방법으로 표면에 금속을 입히는 것을 얘기합니다. 도금의 종류도 많은 만큼 도금은 어떤 물체에 기능성을 부여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도금의 기능

도금의 기능으로는 밀착성, 장식성, 방식성, 내식성 강화와 표면경화, 마찰 완하, 침탄방지, 표면재생, 착생 등이 있다.

 

  • 도금의 원리

도금을 하는 사람이 아니면 도금이 어떤 방식과 원리로 하는 것인지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쉽게 설명해드리면  정류기를 통해 AC 전기를 DC(직류) 전기로 바꾸어 (+)에서 (-)로 가는 성질을 이용하여서 (+) 극의 양극판이 용해를 통한 금속이온을 (-) 극 제품에 도금이 되는 것입니다.

 

  • 도금의 공정

도금의 종류에 따른 공정이 다르지만 니켈/크롬 도금의 공정을 예시로 알려드리겠습니다.

1. 전처리 공정: 연마 → 수세 → 탈지 → 도금을 할 소재에 따른 스트라이크 처리

2. 도금:  산세→ 수세 → 구리도금(하지도금)→ 수세 → 니켈도금 → 수세 →크롬(3,6가) 도금

3. 후처리 공정: 수세 → 건조 

 

  • 도금에 관한 단위?

도금에 사용되는 단위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므로 반드시 알아두어야 합니다.

-두께에 관한 단위:

  • 미크론(micron, μ): 1/1000mm를 1 μ 이라고 합니다.
  • 밀(mil): 1/1000 in(in=2.54cm)를 1 mil이라고 합니다.

-도금 물체의 표면적 단위:

  • 평방데시미터(dm²): 1 dm²=10cm *10cm=100 cm²

-도금액의 용적 및 중량 단위:

  • 리터(L), 씨씨(cc), 갈론(gal): 1L=1000cc=1000ml, 1 ml=1 cc , 1 gallon= 3.7853L(미국)
  • 그람(g), 킬로그램(kg), 밀리그램(mg): 1 kg = 1,000 g, 1 g = 1000 mg
  • 파운도(Ib), 온스(oz): 1 Ib = 453 g , 1 kg = 2.2Ib        1 oz = 28.3495 g, 1 oz/gal = 7.5g/L

-도금액 농도 측정

  • 액체의 농도를 표시할 때 비중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일정한 조성의 도금액을  만들고 그 비중을 측정한다, 도금 작업을 한 후 그 비중을 재측정을 하여 비중이 적어졌다면 도금액의 농도가 묽어졌음을 안다. 하지만 이 것은 최소한으로 아는 것이고 도금액은 약품이 한 가지만 들어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사용량은 알 수 없다.
  • 측정을 위해서는 보메 비중계를 사용한다.

-수소 이온 농도

  • 수소 이온 농도라고 하면 모르는 사람이 많을 수 있지만 여러분들 모두 pH는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pH가 수소 이온 농도이다 7을 기준으로 높으면 알칼리성 낮으면 산성이고 7은 중성이다 (물이 중성이다)
  • 또한 pH값에서 1의 차이가 있다는 것은 실제로 수소이온의 농도가 10배의 차이가 있다는 뜻이며 pH의 값이 그만큼 달라졌다는 것은 수소이온의 농도가 100배만큼 변화한 것을 나타낸다.

◎도금의 종류

2. 도금의 종류

 

도금의 종류는 크게 전기 도금, 화학 도금, 용융 도금이 있다.

  • 도금의 종류 설명
전기 도금 전기에너지를 금속, 비금속 재료에 금속피막을 만드는 방법
화학 도금 화학 변화로 금속 피막을 만들어 주는 방법
용융 도금 금속 용융체에 담가서 용융금속의 피막을 만들어 주는 방법
침투 도금 금속을 확산, 침투시켜 합금 피막을 만드는 방법
음극 스퍼터링 진공에서 (+)이온의 입자로 음극 물질을 떄려 음극 물질이 증발해 진공내 제품에  피막을 형성 하는 방법
용사 도금 다른 용융금속을 분무시켜 피막을 만들어 주는 방법
진공 도금 다른 금속을 진공 증발시켜 금속 피막을 만들어 주는 방법
이온 도금 글로우 방전을 통한 이온화를 이용해 음극재료에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

 


◎ 도금액의 작업조건 및 조성

3. 도금액의 작업조건 및 조성

 

매우 많은 내용이라 어려울 수 있으니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 도금이 잘되는 금속과 잘되지 않는 금속

-도금이 잘되는 금속: 철, 구리, 주석, 니켈, 아연 등

-도금이 잘되지 않는 금속: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크롬합금, 규소철 등

 

  • 도금약품 주성분의 역할:

금속이온 공급, 음극 부근에 금속이온 석출

  • 용해도가 높을 것
  • 값이 싼 금속 염일 것
  • 도금하고자 하는 금속의 수용액 일 것

 

  • 도금약품 보조성분의 역화:

액의 pH조정 및 유지, 전도도 향상, 양극 용해를 좋게 해 줌, 밀착성 향상, 액의 불순물 제거, 피트를 적게 함, 광택성 향상 등이 있다.

 

  • 도금액의 농도와 온도

도금액의 농도가 높을 때: 저항이 적어 도금시간이 단축, 도금 색깔이 균일, 액의 조성 변동이 적다.

 

도금액의 온도에 따른 여과액과 비여과액의 비교:

  여과액  비여과액
온도 높을떄  전류가 잘 흘러 고속도 도금 가능,광택도금에서는 평활성 증가 광택불량, pit발생, 거친 도금
온도 낮을떄 저항이 증가, 양극용해가 불량하며, 광택 범위가 좁고 전력 소모가 많다.

또한 여과액 이어도 온도가 너무 높으면, 액이 분해될 가능성이 있고 액이 증발도 빠르다.

 

  • 도금 작업 시 여과

여과란? 도금액의 불순물을 걸러 주는 것으로 여과기를 통한 기계적인 여과가 가능하다.

 

  • 도금 작업 시 교반의 목적

-음극 부근의 가스를 제거 pit 발생을 적게 하고 금속 이온의 활동을 활발하게 하여 고전류밀도로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작업시간을 단축, 광택범위 증가

 


◎도금 불량

4. 도금 불량

도금면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것은 불량이라고 하는데 불량의 종류와 그것에 대한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 피트(pit): 수소 가스에 의해 홈이 생기는 현상   ※핀홀: 피트가 소지면 까지 발생하면 미세한 구멍이 생기는 것을 핀홀이라고 합니다.
  • 부풀음: 소재 금속과 도금층 사이에 밀착이 불량하여 발생하는 밀착 불량의 하나로 도금피막이 부풀어 오르거나 벗겨진다.
  • 거친 면: 도금면이 깨끗하지 못하고 거칠게 나온 상태, 액 중의 고형불순물 또는 금속산화물 등이 같이 도금이 되어 나와 거친 면이 나오는 것이다.
  • 구름 낀 도금: 도금면에 구름 낀 것과 같이 색깔이 밝지 않고 뿌옇게 나타나는 상태를 말한다.
  • 탄 도금: 도금면에 너무 많은 전류가 흘러(과전류밀도 한계를 넘은) 시커멓게 도금이 타게 되며 그 부분이 취약해진다.
  • 수소취성: 도금의 전처리 과정에서 산세 및 도금액 중의 수소가 방출되지 않고 도금면에 부착되어 도금의 상태를 약하게 만드는 경우입니다.

이에 따른 도금 불량의 원인과 해결방안이 있는데 어려운 내용이라 다음에 자세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뿌리산업 중 하나인 도금의 기초에 대해 설명을 해드렸는데 유익하셨나요? 도금에 대해 더 공부해 보고 배워보고 싶다면 저는 표면처리 관련 대학교를 다니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제가 1기생으로 나온 곳이기도 하며 인천 주안에 남인천 폴리텍 대학교 표면처리학과 2년제를 추천드립니다.


공감과 구독 부탁드립니다.

반응형